Economy/words (5)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아경제]경상수지 - 금융와 금융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저지되거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경상+수지 2. 이제 길게 쓰기도 귀찮다 별거 아닌거 길게 쓰고싶지않다 3. 경상(물건팔아서) + 수지(번돈) 4. 우리나라는 수출많이한다. 그래서 경상수지가 흑자(플러스)다. 그래서 남는돈을 가지고 다 들어오면 환율이 망가질 수 잇어서 해외에 두던 해외에 투자하던 많이한다. 5.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적자(마이너스)면 큰일이다.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 일일 수출 혹은 수출데이터에 관심이 많다. 반도체(경기 상태에 민감한)를 팔기에 경제지표로 삼기도 한다. 진짜다. [유아경제]고정환율제도(변동환율제도) - 금융와 금융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저지되거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단어 : 고정환율제 2 고정 + 환율 + 제도 - 끝이다. 그냥 환율이 고정되어있는 것이다. 설명이 끝났다. 1000원=1달러 근데 이면에 정말 많은 것이 숨어있다. 간단히 몇가지 나열하자면 달러가 들어오고 나감에 제약이 많다. 미국은 변동환율제를 추종하고 이에 반대되는(중국) 나라와 거래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엄석대(미국)이 그렇다면 그래야지.. 라기보다는 변동환율제도 물론 어두운 면이 있지만 자동적으로 환율이 조정되는 것이 큰 이득이다. 내가 1000원짜리 물건을 만들었어... [유아경제] 검은목요일 - 금융에 대해서 아주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방지됐으면 혹은 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단어 : 검은[X요일] 2. 1929-09-03에 다우존스가 하루에 20퍼 빠졌다. 뭐 그냥 다 한강물 체크하러 뛰어내려야지. 한국으로 치면 코스피가 하루에 2000이 깨지고 사이드카 발동되고 심장뛰고 난리나는거다. 현금 이럴때 들고 있는 사람 있었다면 진짜 위너겠지 그래서 그냥 개망하는날 대부분 그냥 검은[X요일]붙여서 쓴다 이건 안중요하고 그냥 있는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유아경제] 가산금리 - 금융에 대해서 아주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방지됐으면 혹은 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단어 : 가산금리 2. 역산 시중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 가산금리 = 시중금리 - 기준금리 3. 가산 + 금리 - 쉽다. 쉽다고 생각하면 쉽다. 말 그대로 가산(더해진다) 금리. 끝. - 기준금리는 높으신 분들이 정하는 금리. 우리나라에서 중심이 되는 금리는 한국은행에서 정하고 거기에 은행이 돈도 벌어야하고 빌려주는 사람의 이득을 보장하려고 가산금리가 붙는다고 보면 된다. - 신용도가 높으면? 삼성전자 사장이 왔으면? 이자를 적게 줄꺼다. 왜냐고? 믿을만 하잖아? - 근데 서울.. US TECH 100 (USTECH) - 정의 :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 중 100개의 우량기업만을 별도로 모아 만든 주가지수 - 개인해석 : 테슬라, 에플, 마이크로 소프트 등 개인들도 많이 아는 큰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다. 마이클 버리가 말했듯 최근 벨류에이션이 꺼지고 나서 실적이 주도하는 시장이 되면서 가격전가가 가능했던 대형주들의 실적이 잘나와 최근 다시 상승세를 탄 것 같다. 반대로 하락시 테슬라, 에플, 마이크로 소프트가 하락폭을 더 키워 11000선까지 빠른 속도로 하락하기도 했다. 현재의 현금흐름 보다 미래의 현금흐름을 반영하는 기술주가 대부분인 지수로 금리 및 전망에 대해 민감하다. 개인적으로 경기의 정점에서 내려오는 시기라고 생각했지만 코로나 및 러시아발 전쟁으로 경기 사이클의 좌우폭이 짧아져 등락폭이 과도해졌다고 생각한다...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