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T

(11)
Day 8 - upper lower initcap > select uppper(test), lower(TEST), initcap(test) from dual; : 대문자로 / 소문자로 / 첫글자만 대문자로 > TEST / test / Test - substr > select substr('TEST', 1, 3) from dual; : TEST중 1번부터 3번까지 > TES - length : 말그대로 text의 길이 > select length(test) from test; : 각 데이터 길이 값 출력
Day 7 1. is null select ename, comm from emp where comm is null; > comm이 null인 값 filtering 2. in - 말 그대로 in ( 조건 ) - 조건 중 걸리는 것 select ename, sal, job from emp where job in ('SALESMAN', 'ANALYST', 'MANAGER'); > job이 'SALESMAN', 'ANALYST', 'MANAGER 중 하나인 행의 값중 ename, sal, job을 보여라 3. and / or / not - and / or / not - and (그리고 / A and B ) : A와 B의 조건 둘 다 만족 - or ( 또한 / A or B ) : A 또는 B의 조건 둘 중 하나 만족 - n..
1.1 SGA 데이터베이스 시작 시 할당되는 중요한 공유 메모리 구조 이는 전체 Oracle 인스턴스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보유하며 모든 서버 및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서 액세스할 수 있음. 각 구성 요소는 데이터베이스의 메모리와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특정 목적을 수행. 1. 데이터베이스 버퍼 캐시 -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디스크 I/O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 파일에서 읽은 데이터 블록을 캐시 -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읽어야 하는 필요성을 줄여 쿼리 처리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 2. 공유 풀 - SGA의 공유 풀은 라이브러리 캐시와 데이터 딕셔너리 캐시로 구성 2.1 라이브러리 캐시 - 구문 분석된 SQL 문, 실행 계획, PL/SQL 코드를 저장하여 자주 실행되는 쿼리에..
1. 인스턴스(instance) Oracle 데이터베이스의 런타임 환경 각각의 Oracle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가질 수 있음. '메모리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구성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캐시하며 SQL 문을 실행하는 역할 1. SGA (System Global Area) - 인스턴스의 메모리 구조 중 하나로, 모든 사용자 및 프로세스에 대한 공유 메모리 영역입니다. SGA에는 여러 세부 구성 요소가 있음 - 데이터 캐시, 리두 로그 버퍼, 공유 SQL 영역 및 기타 관리 정보를 포함 2. PGA (Process Global Area) - 각 사용자 세션 또는 서버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개별 메모리 영역. - PGA는 사용자의 세션 정보, 정렬 및 해시 연산에 필요한 작업..
0. INDEX 1. 인스턴스 - 런타임 환경연결 관리, 데이터 캐싱 및 SQL 실행을 담당하는 메모리 구조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구성 단일 Oracle 데이터베이스에서 고가용성과 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해 여러 인스턴스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2. 데이터베이스 파일 - 데이터 파일 : 실제 데이터 저장 - 제어 파일(컨트롤파일) : 메타데이터 - 리두 로그 : 데이터 변경사항 기록 3. 데이터 사전(딕셔너리) -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과 뷰의 집합 - 테이블, 인덱스, 제약 조건, 사용자 등 데이터베이스의 구조와 객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 사용자는 구조와 객체의 정보 검색 4. 테이블스페이스 - 테이블스페이스는 Oracle 데이터베이스 내의 논리적인 저장 컨테이너 - 하나 이상의 데이터 파일로 이루어짐 - 테이블과 인..
DAY 6 1. 결합연산자 || - 결합연산자는 텍스트의 결합에 이용 > select username || ' is fired' from emp; 2. 별칭(alias) - 표시되는 column에 별칭을 부여하는 것 - 해당 컬럼의 마지막에 띄어쓰기 한칸 이후 부여할 alias를 작성 (예시3) - 혹은 AS를 이용 (예시4) 3. 연산자 - 기초적인 연산자와 같다. ( + - * / ) 이후 생략
DAY 5 1. like 연산자와 와일드카드(%)의 사용 - 값의 일부를 통한 검색 - select * from emp where dept like 'MAN%' > 부서명이 MAN으로 시작하는 값을 출력 (MSSQL에선 %대신 *를 사용한다) > 하나의 텍스트로 인식하기 때문에 대소문자는 구별 > 간혹 '='를 사용하는데 이는 값이 정확해야 하므로 %와 사용하면 값이 나오지 않음 ( '%' + '=' = X ) 2. like 연산자와 _ 사용 - 지정 자리수를 통한 검색 - select * from emp where name like '_ohn' > 이름이 ohn앞에 한글자만 가지고 있는 값만 출력 _를 한개만 썼기 때문에 기댓값중 하나는 John > Joohn은 _기호가 2개를 사용할 경우 출력값의 예 3. []..
DAY 4 1. where - 데이터 필터, 거름망 - select * from emp where salary > 20000 > 전체 고용(emp) 중 salary를 20000원 초과하여 받는 사람을 보여라 2. where절에 사용하는 연산자 - = : 같다 : 같지 않다 != : 같지 않다 = : 크거나 같음 !> : 크지 않음 BETWEEN : 사이에 있음 IS NULL : null 값 IS NOT NULL : null 값 제외 ※ DBMS기종 별로 연산자는 다름. 3. AND / OR / () - select * from emp where salary > 20000 and dept = 'HR' > HR부서이면서 급여를 20000이상 수령하는 사람을 보여라 - select * 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