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9) 썸네일형 리스트형 Day 8 - upper lower initcap > select uppper(test), lower(TEST), initcap(test) from dual; : 대문자로 / 소문자로 / 첫글자만 대문자로 > TEST / test / Test - substr > select substr('TEST', 1, 3) from dual; : TEST중 1번부터 3번까지 > TES - length : 말그대로 text의 길이 > select length(test) from test; : 각 데이터 길이 값 출력 Day 7 1. is null select ename, comm from emp where comm is null; > comm이 null인 값 filtering 2. in - 말 그대로 in ( 조건 ) - 조건 중 걸리는 것 select ename, sal, job from emp where job in ('SALESMAN', 'ANALYST', 'MANAGER'); > job이 'SALESMAN', 'ANALYST', 'MANAGER 중 하나인 행의 값중 ename, sal, job을 보여라 3. and / or / not - and / or / not - and (그리고 / A and B ) : A와 B의 조건 둘 다 만족 - or ( 또한 / A or B ) : A 또는 B의 조건 둘 중 하나 만족 - n.. [유아경제]경상수지 - 금융와 금융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저지되거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경상+수지 2. 이제 길게 쓰기도 귀찮다 별거 아닌거 길게 쓰고싶지않다 3. 경상(물건팔아서) + 수지(번돈) 4. 우리나라는 수출많이한다. 그래서 경상수지가 흑자(플러스)다. 그래서 남는돈을 가지고 다 들어오면 환율이 망가질 수 잇어서 해외에 두던 해외에 투자하던 많이한다. 5. 우리나라 경상수지가 적자(마이너스)면 큰일이다.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 일일 수출 혹은 수출데이터에 관심이 많다. 반도체(경기 상태에 민감한)를 팔기에 경제지표로 삼기도 한다. 진짜다. [유아경제]고정환율제도(변동환율제도) - 금융와 금융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저지되거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단어 : 고정환율제 2 고정 + 환율 + 제도 - 끝이다. 그냥 환율이 고정되어있는 것이다. 설명이 끝났다. 1000원=1달러 근데 이면에 정말 많은 것이 숨어있다. 간단히 몇가지 나열하자면 달러가 들어오고 나감에 제약이 많다. 미국은 변동환율제를 추종하고 이에 반대되는(중국) 나라와 거래를 하지 않으려고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 엄석대(미국)이 그렇다면 그래야지.. 라기보다는 변동환율제도 물론 어두운 면이 있지만 자동적으로 환율이 조정되는 것이 큰 이득이다. 내가 1000원짜리 물건을 만들었어... [유아경제] 검은목요일 - 금융에 대해서 아주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방지됐으면 혹은 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단어 : 검은[X요일] 2. 1929-09-03에 다우존스가 하루에 20퍼 빠졌다. 뭐 그냥 다 한강물 체크하러 뛰어내려야지. 한국으로 치면 코스피가 하루에 2000이 깨지고 사이드카 발동되고 심장뛰고 난리나는거다. 현금 이럴때 들고 있는 사람 있었다면 진짜 위너겠지 그래서 그냥 개망하는날 대부분 그냥 검은[X요일]붙여서 쓴다 이건 안중요하고 그냥 있는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유아경제] 가산금리 - 금융에 대해서 아주 어렵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정리하려고 한다. 그 누군가의 사기가 방지됐으면 혹은 잘 이용하면 좋을 금융 혹은 경제상식을 쉽게 쓰려한다. 별거없다. 5살도 알게 쓰려고 한다. 거창한거 없다. 1. 단어 : 가산금리 2. 역산 시중금리 = 기준금리 + 가산금리 가산금리 = 시중금리 - 기준금리 3. 가산 + 금리 - 쉽다. 쉽다고 생각하면 쉽다. 말 그대로 가산(더해진다) 금리. 끝. - 기준금리는 높으신 분들이 정하는 금리. 우리나라에서 중심이 되는 금리는 한국은행에서 정하고 거기에 은행이 돈도 벌어야하고 빌려주는 사람의 이득을 보장하려고 가산금리가 붙는다고 보면 된다. - 신용도가 높으면? 삼성전자 사장이 왔으면? 이자를 적게 줄꺼다. 왜냐고? 믿을만 하잖아? - 근데 서울.. 1.1 SGA 데이터베이스 시작 시 할당되는 중요한 공유 메모리 구조 이는 전체 Oracle 인스턴스에 대한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보유하며 모든 서버 및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서 액세스할 수 있음. 각 구성 요소는 데이터베이스의 메모리와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특정 목적을 수행. 1. 데이터베이스 버퍼 캐시 -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디스크 I/O를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 파일에서 읽은 데이터 블록을 캐시 -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읽어야 하는 필요성을 줄여 쿼리 처리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 2. 공유 풀 - SGA의 공유 풀은 라이브러리 캐시와 데이터 딕셔너리 캐시로 구성 2.1 라이브러리 캐시 - 구문 분석된 SQL 문, 실행 계획, PL/SQL 코드를 저장하여 자주 실행되는 쿼리에.. 1. 인스턴스(instance) Oracle 데이터베이스의 런타임 환경 각각의 Oracle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가질 수 있음. '메모리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구성 데이터베이스에 연결된 사용자와 응용 프로그램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캐시하며 SQL 문을 실행하는 역할 1. SGA (System Global Area) - 인스턴스의 메모리 구조 중 하나로, 모든 사용자 및 프로세스에 대한 공유 메모리 영역입니다. SGA에는 여러 세부 구성 요소가 있음 - 데이터 캐시, 리두 로그 버퍼, 공유 SQL 영역 및 기타 관리 정보를 포함 2. PGA (Process Global Area) - 각 사용자 세션 또는 서버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개별 메모리 영역. - PGA는 사용자의 세션 정보, 정렬 및 해시 연산에 필요한 작업..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